태그 칩 부문에서는 소형 IoT 기반의 ESL과 스마트 자산관리용 박리다매 구조 제품이 주력이다. 주력 고객사의 ESL 사업이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 확대됨에 따라 동사의 매출 성장도 기대된다. 이 시장은 B2B 중심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 수익성보다는 공급 안정성과 대량생산 역량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이 우선시되고 있다. 또한 2025년 하반기에는 RFID와 NFC 기능이 통합된 고기능 신제품 출시가 예정되어 ASP 상승과 고단가 제품 믹스 개선 효과도 기대된다.
리더 칩 부문은 차량용 NFC 시장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 주력 고객사와의 계약 차종이 2023년 8개에서 2024년 45개로 대폭 확대됐으며, 2025년 말부터 양산 매출이 순차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차량용 NFC 리더 칩 인증 및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은 NXP, ST마이크로, 쓰리에이로직스 단 3곳에 불과해 글로벌 Tier-1 및 주요 OEM 고객사로부터 신규 레퍼런스 러브콜이 유입되고 있다. 고기능 인증 기반 제품군 특성상 가격 경쟁보다는 레퍼런스 우위를 통한 고마진 구조가 기대된다. 매출 포트폴리오 내 리더 칩의 기여도가 높아짐에 따라 영업 레버리지가 발생하는 구간에 진입했으며, 중장기적으로 자동차용 인증 기반 칩의 누적 매출 확대가 수익성 구조를 견고히 할 전망이다.
글로벌 NFC 시장은 2023년 약 25억 달러에서 2028년 약 5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NFC 시장도 2023년 815백만 달러에서 2028년 1,679백만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쓰리에이로직스는 해외 10여 개 국가에 직접 수출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으며, 정부 지원금 103억 원을 통해 3세대 차량용 반도체 칩, 듀얼밴드 디지털 제품 연결 칩, 생체신호 복합 센서 칩 등 미래 성장 동력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한편, 주요 전방 고객사로는 현대자동차 그룹이 2026년까지 45개 모델에 차량용 NFC 칩을 적용 확대할 계획이며, KG모빌리티와 화양 자동차, YF테크 등도 다수 모델에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객사 확대와 신제품 출시, 글로벌 시장 성장에 힘입어 쓰리에이로직스는 향후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