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분기 매출액 4,918억원,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
- 혈액제제 및 백신 사업부 고성장 견인
- 2025년 연결기준 매출액 1조 8,497억원, 영업이익 723억원 전망
- 미국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 대응 위한 재고 확대 및 CMO 검토
- 목표가 200,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녹십자,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19% 상회하며 호실적 전망 - SK증권
녹십자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4,9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8%, 전분기 대비 28.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2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3%, 전분기 대비 226.3% 급증하며 영업이익률 5.3%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매출액 컨센서스 4,619억원 대비 6.5%, 영업이익 컨센서스 219억원 대비 19.2% 상회하는 호실적이다.특히 혈액제제 부문은 알리글로 매출 308억원 추정과 2024년 6월부터 인상된 국내 혈액제제 약가 효과로 2분기 매출 1,492억원(+64.6% YoY, +17.3% QoQ)의 고성장이 기대된다. 백신 사업부는 독감 백신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두백신 베리셀라(123억원 추정)와 대상포진 백신 싱그릭스(248억원 추정)의 수출 및 성장으로 백신사업부의 매출 921억원(+6.4% YoY, +86.4% QoQ)을 기록하며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또한 검체 검사 서비스 매출 증가와 라이넥주의 성장에 힘입어 연결회사 매출도 1,212억원(+13.5% YoY, +37.5% QoQ)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SK증권은 녹십자의 2025년 연결기준 매출액을 1조 8,497억원(+10.1% YoY), 영업이익을 723억원(+125.2% YoY, 영업이익률 3.9%)으로 전망했다. 하반기에는 알리글로 매출 성장과 3분기 국내 독감백신 매출 증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연결 종속회사는 팬데믹 이후 진단 사업 부진과 경쟁 심화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성장 둔화, NK 파이프라인 임상 진입으로 인한 R&D 비용 증가 등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라이넥주 매출 증가에 따른 녹십자 웰빙의 외형 성장 및 수익성 개선, 지씨셀의 연구개발비 및 판관비 효율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어 점진적인 실적 회복이 예상된다.
미국 의약품 관세 관련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나, 녹십자는 리스크 최소화를 위해 미국 내 재고량을 늘리고 미국 내 DP CMO(위탁생산) 검토를 진행 중이다.
이에 SK증권은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200,000원으로 제시했다.
투자 트렌드: AI 주식 분석 솔루션이 뜨는 이유
한편, 최근 주식 투자 시장에서는 전통적인 리서치 리포트 외에도 AI 기반 종목 분석 솔루션이나 알고리즘 기반 추천 서비스가 급부상 중이다. 특히 콘텐츠·엔터 업종처럼 비정형 데이터가 많은 섹터에선 AI의 종합 판단 능력이 돋보이면서, 실제 투자 참고 수단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예컨대, 최근 입소문을 타고 있는 ‘급등주레이더’는 국내 2,654개 종목 스크리닝을 통해 급등 전 수급 이상징후나 기술적 신호를 탐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언제 사고팔지 고민 끝! 최적의 매매타이밍 《급등주레이더》 즉시 체험
단순한 종목 추천을 넘어, 단기·중기 전략별 AI 알고리즘 분석 결과를 제공하며,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는 새로운 투자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위드투자그룹에 따르면, 최근 급등주레이더 추천 종목 가운데 ▲다날(+173.2%) ▲더즌 (+125.2%) ▲현대ADM(+107.1%) 등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사례가 다수이며, 간단한 가입만으로 누구나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투자자 유입이 급증하고 있다.
『급등주레이더』 '종목감지 5先'
중앙첨단소재, SGA, 에스아이리소스, 폴라리스세원, 우리기술
▶ "오늘 뭐 사지?" 고민하지 말고, 한발 빨리 콕 짚는 'Ai 골든봇' [선착순 체험]
[본 글은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홍보용 기사는 데이터투자와 무관합니다.]
데이터투자 pr@datatooz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