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주식회사큰솔, 솔디펜스 주식 678만4684주 주식병합 ↑…지분율 29.30%
미래에셋자산운용(주), 미래에셋글로벌리츠 주식 559주 ↓…지분율 26.63%
프로티나, 11억원 규모 임상검체 분석 서비스 공급 계약
세보엠이씨, 삼성물산과 756억원 규모 평택 기계설비공사 계약
인텔리안테크, 409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링크솔루션, 현대자동차와 7억원 규모 3D프린터 장비 매매 계약
한텍, 243억원 규모 북미향 열교환기 외 공급계약
삼성전자, AI 사이클 중심 메모리 구조적 성장 기대 - SK증권
SK하이닉스, AI 중심 수요 확대로 2026년 영업이익 56조원 고성장 전망 - SK증권
비아이매트릭스, 신규 AI 솔루션 ‘TRINITY’ 출시로 기업 의사결정 지원 강화 - 키움증권
한화오션, 양밍해운과 1조9336억원 규모 컨테이너선 7척 계약
IF뱅코프(IROQ), 주주와의 스탠드스틸 계약 체결
하트랜드익스프레스(HTLD), 정기 분기 배당금 발표
화이트스톤리츠(WSR), 1억 달러 규모의 주식 공모 진행
라이트웨이브로직(LWLG), CEO 계약 연장 및 CFO 은퇴 발표
애비드X체인지홀딩스(AVDX), 주주총회에서 합병안 승인
볼린저이노베이션스(BINI), 주주총회에서 주요 안건 통과
아카데미스포츠&아웃도어(ASO), 이사 사임
큐리그닥터페퍼(KDP), 분기 배당금 발표
뱅크오브마린뱅코프(BMRC), 스티븐스 뱅크 포럼 참가 발표
Updated : 2025-09-17 (수)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금융  >  금융

[오늘의 데이터] 휘발유 ℓ당 1800원 가나요?…3주연속 오름세

유경석 기자

입력 2022-02-05 17:28

오피넷, 휘발유 리터(ℓ)당 1667.6원·경유 1486.0원
우크라이나 사태 등 불안요인…내달 1800원 돌파 전망도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오피넷 초기화면. 자료=오피넷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오피넷 초기화면. 자료=오피넷

이미지 확대보기
주유소 휘발유 가격(ℓ)이 1800원을 코앞에 두고 있습니다. 주유소 앞을 지날 때면 속이 답답해 집니다. 정부가 유류세를 인하하지 않았으면 벌써 1800원은 넘었을 거예요. 약발(?)이 다한 셈이지요.

오늘(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을 보니까, 2월 첫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판매가격이 전주 대비 15.2원 상승한 리터(ℓ)당 1667.6원입니다. 경유 판매가격도 전주 대비 14.9원 오른 1486.0원이고요.

지난해 11월 12일 정부는 유류세 20%를 인하했습니다. 휘발유 기준 유류세는 ℓ당 820원 가량 됩니다. 교통환경에너지세 529원인데, 이 금액 기준 15%가 교육세입니다. 79원이죠. 또 26%는 주행세. 138원쯤 돼요. 이걸 합하면 746원입니다. 여기에 부가가치세 10%, 즉 74원을 더하면 820원.

최근 1년간 주요 국제 유가 현황. 자료=데이터포털

최근 1년간 주요 국제 유가 현황. 자료=데이터포털

이미지 확대보기
부가가치세는 주유소 휘발유 판매가격에 따라 달라져요. 1600원 받는 곳은 160원이고, 1700원 받는 곳은 170원이라서, ℓ당 10~30원 내외로 차이가 생길 수 있어요.

유류세 20%를 인하했으니, 그간 820원의 20%인 164원을 덜 낸 셈입니다. 오늘 휘발유 판매가격인 1667.6원에 164원을 더해보면 이미 1831.7원이예요. 유류세 인하를 중단하면, 당장 1800원을 훌쩍 넘는 돈을 내야 하는 것이죠.

정부는 오는 4월말 유류세 인하정책을 중단한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국제유가가 계속 오르는 상황이니 기름값은 덩달아 오를 것이고, 여기에 유류세 인하를 중단하면..... 물가도 계속 오르고 있는데..... 숨이 막히죠.

정부도 이런 속사정을 훤히 알고 있으니 유류세 인하를 연장할 생각인가 봅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달 28일 열린 제4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오는 4월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 조치는 국제유가 동향에 따라 연장을 검토하겠다고 했거든요. 휴~~ 그나마 다행~~
최근 3년간 주요 국제 유가 현황. 자료=데이터포털

최근 3년간 주요 국제 유가 현황. 자료=데이터포털

이미지 확대보기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있어요. 국제유가 상황입니다. 최근 1년간 WTI, 두바이유, 브렌트유 모두 상승세입니다. Dubai(현물)는 싱가포르에서 거래된 Dubai(현물) 가격 추정값이고, WTI(선물)는 미국 Nymex 선물시장에서 거래된 WTI 선물 가격입니다. Brent(선물)는 영국 ICE 선물시장에서 거래된 Brent 선물 가격이고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는 데다, 미국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중국이 러시아의 입장을 두둔했다고 공개적으로 비판을 했어요. 미국-중국, 미국-러시아, 미국과 북한·중국·러시아 간 불편한 관계가 심화·지속될 상황이 이어지는 것이지요.

원유 수요는 계속 확대되고 있고, 아랍에미리트(UAE) 석유 시설 피습 등으로 상승세는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10년간 주요 국제 유가 캔들차트. 자료=데이터포털

최근 10년간 주요 국제 유가 캔들차트. 자료=데이터포털

이미지 확대보기
여기에 환율도 부담입니다. 미국의 통화 긴축정책에 대한 우려감으로 달러 가치가 오르면서 원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5일) 원/달러 환율은 1198.4원인데, 더 내려갈 가능성도 있어요. 원유 구매대금을 달러로 결제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원화를 더 지불해야 하니, 고스란히 소비자 부담으로 전이될 겁니다.

데이터포털 국제 유가변동 상황을 보니, 앞으로 더 올라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최근 1년간, 말 그대로 WTI, 두바이유, 브렌트유 모두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요.

3년간 데이터를 보면 2020년 상반기 유가가 잠시 하락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기쁨도 잠시 한 달도 채 안 돼 예년 수준으로 빠르게 복귀를 했어요.

최근 10년간 국제 유가 캔들차트를 보면, 10년 전 유가를 향해 쉼없이 달려가는 모양새입니다. 앞으로 계속 오를 것이라는 전망을 하는 배경이지요.

최근 30년간 국제 유가 데이터는 옛날이 좋았다는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1993년 10월 WTI가 새롭게 느껴집니다.

최근 30년간 주요 국제 유가 현황. 자료=데이터포털

최근 30년간 주요 국제 유가 현황. 자료=데이터포털

이미지 확대보기
유류세 인하가 연장된다는 전제로, 언제쯤 주유소 휘발유 판매가격은 1800원을 넘어설까요?

대체적으로 국제 유가가 국내 가격에 반영되는데 2~3주 정도가 걸린다고 합니다. 현재 상태가 지속될 경우 2월말 늦어도 3월 초쯤 1800원 선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죠.

아이들 새학년이 시작되고, 봄맞이 꽃단장도 해야 하는데, 이래저래 걱정이 많아요.

유경석 데이터투자 기자 kangsan0691@naver.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13.40 ▼36.22
코스닥 845.53 ▼6.31
코스피200 466.99 ▼5.86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945,000 ▲102,000
비트코인캐시 835,000 ▲2,500
이더리움 6,315,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8,520 ▲150
리플 4,204 ▲3
퀀텀 3,390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900,000 ▲110,000
이더리움 6,312,000 ▲32,000
이더리움클래식 28,510 ▲110
메탈 1,006 ▲1
리스크 501 ▲3
리플 4,206 ▲4
에이다 1,224 ▲4
스팀 18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5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834,000 ▲1,500
이더리움 6,315,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8,480 ▲70
리플 4,204 ▲5
퀀텀 3,390 ▲33
이오타 25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