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최병채 대표이사, 인카금융서비스 주식 2만6120주 ↑…지분율 25.12%
주식회사코람코자산운용,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주식 30만4800주 장내매수 ↑…지분율 10.92%
그린리소스, 미라클에너지와 20억원 규모 팜혼합물 단기 물품공급계약
미래에셋자산운용(주), 미래에셋생명 주식 14만9201주 ↑…지분율 14.20%
㈜코오롱,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주식 991만6347주 공개매수 ↑…지분율 89.73%
이은우 대표이사, 동원금속 주식 100만주 증여 ↓…지분율 12.37%
이승재 전무, 동원금속 주식 100만주 수증 ↑…지분율 9.31%
미래에셋자산운용(주), 미래에셋글로벌리츠 주식 2만2191주 ↓…지분율 26.63%
미래에셋자산운용(주), 미래에셋맵스리츠 주식 9000주 ↓…지분율 11.63%
하동길 대표이사, 액트로 주식 5000주 ↑…지분율 9.18%
주식회사케이비아이국인산업, 동양철관 주식 965만621주 주식병합 ↓…지분율 12.08%
(주)아침해, 동일기연 주식 6312주 ↑…지분율 51.79%
삼미금속, 글로벌 탑티어 선박엔진 밸류체인 진입··중속엔진 전체 공급망 핵심지위 선점
(주)오상헬스케어, 핸디소프트 주식 275만8423주 장외매도 ↓…지분율 10.82%
세보엠이씨, 에스케이에코플랜트와 536억원 규모 용인 기계소방공사 계약
한신공영, 이수과천복합터널과 416억원 규모 공급계약
(주)오상, 핸디소프트 주식 308만9527주 장외매도,장내매수 ↓…지분율 0.00%
[특징주]문배철강, 선박건조 핵심 철강재 '열연강판·후판' 국내 수요 대폭 증가 전망에↑
코윈테크, 자율이동로봇(AMR) 기술로 산업 다각화 추진 - 유안타증권
레이크랜드인더스트리즈(LAKE), 2025년 7월 31일 종료된 분기 보고서 발표
Updated : 2025-09-10 (수)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종목분석  >  기업분석

[특징주]문배철강, 선박건조 핵심 철강재 '열연강판·후판' 국내 수요 대폭 증가 전망에↑

김규환 기자

입력 2025-09-10 13:35

[특징주]문배철강, 선박건조 핵심 철강재 '열연강판·후판' 국내 수요 대폭 증가 전망에↑이미지 확대보기
장 중 문배철강이 강세다.

최근 국내에는 조선업 부흥을 겪으며 최고치인 가운데, 기재부가 일본·중국산 열연강판에 28.16%~33.57%의 잠정 덤핑방지관세까지 결정하며 국내산 철강재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주목받는 모습이다.

10일 오후 1시 34분 기준 문배철강 주가 전 거래일 대비 8.64%오른 2,515원에 거래되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일본 및 중국산 열연강판에 대해 28.16%~33.57%의 잠정 덤핑방지관세를 결정했다.

‘일본 및 중국산 탄소강 및 그 밖의 합금강 열간압연 제품에 대한 잠정덤핑방지 관세 부과’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해당 제정안은 이달부터 내년 1월까지 4개월간 시행된다.

부과 대상은 철, 탄소강 또는 그밖의 합금강 등에 열을 가한 후 압연하여 생산한 판재다. 다만, 열연 후판 제품, 열연 제품에 클래드, 도금 또는 도포한 제품, 스테인리스강 제품은 포함되지 않는다.

최근 조선업계는 마스가 프로젝트, 알래스카 LNG프로젝트, 미 MRO 시장 진입 등 조선업 사상 최고치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열연강판 및 후판 가격의 상승은 조선사들의 원가 부담을 더욱 강화한 바 있다.

업계에선 이번 기재부의 덤핑방지관세 결정에 따라 국내산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반덤핑 조사에 착수해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잠정덤핑방지관세(관세율 27.9~38.0%)를 부과하며 수입산과의 가격이 좁혀지면서 국내 제철3사(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의 판매량과 생산량이 동반 상승했다.

한편, 중국산 후판 경우는 반덤핑 관세 부과 기간이 5년으로 연장돼 국내 철강업계에 회복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이같은 소식에 열연코일, 후판, 형강, 강관, 특수강관 등을 포스코, 현대제철 등에서 구매하여 조선업체에 납품하는 문배철강이 주목받고 있다.

문배철강은 국내 제철 빅3사로 불리우는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 등 국내 주요 제철3사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통해 철강 제품을 제공받아 유통하는 중요한 파트너 역할을 하며 조선업 부흥에 따른 동반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김규환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14.53 ▲54.48
코스닥 833.00 ▲8.18
코스피200 450.05 ▲8.77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448,000 ▲280,000
비트코인캐시 809,500 ▲500
이더리움 6,020,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8,780 ▼40
리플 4,134 ▼5
퀀텀 3,608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458,000 ▲295,000
이더리움 6,028,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8,780 ▼20
메탈 1,000 ▲1
리스크 523 ▼1
리플 4,137 ▼5
에이다 1,223 ▼3
스팀 18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610,000 ▲370,000
비트코인캐시 808,500 0
이더리움 6,02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8,750 ▼80
리플 4,137 ▼5
퀀텀 3,628 ▼16
이오타 26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