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김현목 전무, 모니터랩 주식 3만주 ↓…지분율 2.48%
달바글로벌, 크레이버코퍼레이션과 18억원 규모 화장품 공급계약
CJ대한통운, 3PL 독보적 경쟁력 기반 택배 회복과 W&D 호조 기대 - 미래에셋증권
키스와이어홀딩스(주), 고려제강 주식 24만주 ↑…지분율 17.05%
키스트론(주), 고려제강 주식 24만주 ↓…지분율 12.32%
[특징주]제주은행, 네이버페이와 온∙오프라인 디지털 결제 인프라 구축∙운영 소식에 '강세'
"복잡한 데이터는 가라!" 신한카드, AI로 중소 지자체 상권 분석 '해결사' 등판
우리은행, 1.28조 규모 '판교 테크원 타워' 매입 금융 주선 성공…부동산 금융 역량 입증
스타치얼코퍼레이션, 씨큐브 주식 29만4058주 ↑…지분율 37.73%
확장하는 전시 사업과 해외 공략 본격화, 메쎄이상 - 키움증권
[특징주]제이피아이헬스케어, 미국 관세 영향 無∙∙"관세 내더라도 글로벌 고객사 구매요청 쇄도"
유니티그룹(UNIT), 2028년 만기 담보부 채권 상환 공지 및 7.50% 고정금리 채권 발행 가격 발표
현대차·기아, 미국 HEV 판매 52%↑... 관세 리스크 넘어 실적 레벨업 기대
이뮤니어링(IMRX), 1,895만 주의 공모주 발행을 위한 인수 계약 체결
제주개발공사·광동제약, ‘제주삼다수’ 국내 유통 위탁판매 본계약 체결
암로지홀딩(BTOC), 2025 회계연도 전체 재무 결과 발표
다리오헬스(DRIO), 나스닥 규정에 따라 시가로 가격 책정된 1,750만 달러 규모의 일반주식 사모 발행 발표
하나증권 "통신주 매수는 11월 말까지 기다려라"…10월 투자매력도 '보통' 유지
오가노제네시스홀딩스(ORGO), 두 번째 Phase 3 ReNu 연구 업데이트 발표
아카리쎄라퓨틱스(AKTX), 2025년 9월 19일 주요 계약 체결 및 임상 데이터 발표
Updated : 2025-09-26 (금)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종목분석  >  기업분석

[특징주]제이피아이헬스케어, 미국 관세 영향 無∙∙"관세 내더라도 글로벌 고객사 구매요청 쇄도"

김규환 기자

입력 2025-09-26 10:19

[특징주]제이피아이헬스케어, 미국 관세 영향 無∙∙"관세 내더라도 글로벌 고객사 구매요청 쇄도"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오는 10월 1일부터 의약품에 대해 최대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며 한미관세 불확실성이 지속적으로 산재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X-RAY 그리드 점유율1위 사업자인 JPI헬스케어의 품목은 관세 영향이 없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강세다.

26일 오전 10시 8분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1.14% 오른 22,4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국내증시는 환율, 관세협상, 미국 금리 등 3중고에 상승 동력이 약화하며 하락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ad

특히 미국 트럼프대통령은 10월 1일부터 미국에 제약 공장을 건설 중인 기업을 제외하고, 모든 브랜드 또는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현재 한미 무역협상 또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등을 시행하기로 합의했지만 세부 사항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한편, JPI헬스케어는 전체 매출 중 해외수출비중이 80%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80년에 설립된 제이피아이헬스케어는 엑스레이 영상의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인 '그리드(Grid)'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제이피아이헬스케어는 알루미늄과 카본 소재를 모두 활용해 그리드를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유일 기업으로, 관련 시장에서 약 4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매출의 80% 이상은 해외에서 발생한다. 현재 독일, 미국, 중국, 이탈리아, 일본 등 전 세계 80여 개국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글로벌 상위 10대 의료기기 업체들과도 파트너십을 통해 공동 개발과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약 300곳 이상의 해외 고객사를 확보한 상태다.

아울러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인터뷰에 따르면 “제이피아이헬스케어는 수출 비중이 80% 이상으로 그리드의 경우 유럽과 미국 매출이 가장 많다”며 “미국 관세와 관련해 그리드는 영향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또 “그리드의 경우 대체제가 많지 않은 만큼 현지에서 관세까지 부담하면서 구매하는 수요가 많다”며 “미국 외에 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 등에서도 그리드 수요가 여전히 많다”고 말했다.

김규환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89.22 ▼81.89
코스닥 836.72 ▼15.76
코스피200 468.61 ▼12.0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98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778,500 0
이더리움 5,694,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6,060 ▼90
리플 3,989 ▼4
퀀텀 2,98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010,000 ▼346,000
이더리움 5,69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6,070 ▼60
메탈 884 ▼2
리스크 435 ▼2
리플 3,988 ▼8
에이다 1,119 ▼1
스팀 16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950,000 ▼370,000
비트코인캐시 778,500 ▼1,000
이더리움 5,69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6,080 ▼120
리플 3,988 ▼7
퀀텀 3,005 0
이오타 236 ▲1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