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조금 끝나면 누가 웃을까?” 4Q 전기차 수요 불확실성 경고
- 미국 인도(Delivery) 증가·11월 이후 판매 위축 우려
미국 정부는 전기차 세액공제 지급 기준을 기존 ‘출고 시점’에서 ‘계약 시점’으로 완화하고, 10월부터 해당 제도를 폐지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들은 10월 이전 인도 물량을 앞당기고 있다. 보고서는 “10월까지 인도는 증가하겠으나, 11월부터는 판매 위축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또 한국 배터리 업체의 미국향 출하량이 상반기 28GWh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3분기 예상 출하량 10~11GWh, 4분기에도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미국 실제 EV 판매가 둔화할 경우, 기업별 가이던스가 하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국내 2차전지 업종은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출하 가이던스가 하향 조정되는 분위기”라며, 단기적 일회성 요인(보상금·충당금 환입 등)에 따른 수익성 방어에도 불구하고 전반적 수요 둔화가 명확하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시장의 실질 인도(Delivery) 데이터가 향후 4분기 실적과 배터리 출하량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용욱 연구원은 “미국 시장의 실제 EV 판매 동향을 점검한 뒤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결국 시장의 초점은 “10월까지 얼마나 선인도(先引渡)가 이어질지, 그리고 11월 이후 낙폭이 어디까지일지”로 모이고 있다. 보조금 종료와 함께 시장의 ‘숨 고르기’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