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김윤세 대표이사, 인산가 주식 5만주 ↑…지분율 21.74%
LG에너지솔루션, 3Q 연결 영업이익 6013억
HD현대마린엔진, 446억원 규모 선박엔진 공급계약
정제마진 '13달러 돌파'...러시아 디젤 수출금지에 美정유소 화재까지
오토앤, 2024년 572억 원 매출 5.2% 하락···SDV·IoT 신사업이 답
HBM4 테스트 돌입한 디아이, ‘SK하이닉스 對 삼성전자’ 경쟁의 숨은 조력자 - iM증권
은행주 3Q 순익 6.2조원..."본질 수익성은 여전히 버틴다"
LS일렉트릭·하니웰 맞손..."AI 전력 관리로 데이터센터 다운타임 잡는다"
포스코, 연 6만t 흑연 25년 확보...중국 의존 끊는다
iM뱅크, 1100억 '녹색 머니' 푼다...이차전지·태양광에 쏜다
비에이치, 3분기 실적 호조와 북미 고객사 신제품 판매 호조 기대 - 유진투자증권
포워드인더스트리(FORD), 주요 계약 체결 및 면제 동의서 발표
플로라그로스(FLGC), 투명성 우선: 재무 및 진행 상황 업데이트
페라소(PRSO), 최대 175만 달러의 주식 발행을 위한 보충 설명서 제출
톤스트래티지(TONX), 나스닥 상장 유지 관련 통지 수령
오렌지카운티뱅코프(OBT), 401(k) 플랜 관련 거래 중단 공지
바자트(VXRT), 프로젝트 계약 관련 공지 및 임상 시험 진행 상황
니온크테크놀로지스홀딩스(NTHI), 5000만 달러 전략적 파트너십 10월 23일까지 마무리 예정
퍼펙트모먼트(PMNT), 투자자와의 주식 매입 계약 체결
퍼펙트모먼트(PMNT), 정관 개정 승인
Updated : 2025-10-13 (월)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투자뉴스  >  시장분석

은행주 3Q 순익 6.2조원..."본질 수익성은 여전히 버틴다"

주지숙 기자

입력 2025-10-13 05:50

- 한화투자증권, 커버리지 9개사 3Q 지배순익 6조1553억원 전망

은행주 3Q 순익 6.2조원..."본질 수익성은 여전히 버틴다"이미지 확대보기
한화투자증권 김도하 연구원이 10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커버리지 은행주의 3분기 실적은 전반적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이다. 9개사 합산 지배주주 순이익은 6조15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하지만, NIM(순이자마진) 방어와 유가증권 손익 호조, 수수료 증가가 이어지며 본질 수익성이 여전히 선방하는 모습이다.

분기별 원화대출 성장률은 대부분 은행에서 1% 내외로 나타날 전망이다. KB, 신한, BNK, iM금융의 계열 은행들은 연간 YTD 대출 성장률이 2%대로 평년보다 낮아지고, 하나, JB금융의 계열 은행들과 카카오뱅크, 기업은행이 4~5%대로 비교적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분기 NIM은 BNK와 JB, 카카오뱅크에서 4~7bp 하락하고, 그 외는 모두 전분기와 유사하거나 소폭 상승해 수익성을 방어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이자이익에서는 전반적인 유가증권 손익의 호조와 계열 증권사의 수수료 증가가 여전히 이어질 것으로 가정했다. 환 민감도가 높은 하나금융, 우리금융, 기업은행에는 환 차손을 300~500억원 수준 반영했다. 판관비에서는 신한카드의 희망퇴직 비용 외의 비경상 요인은 없고, 대손비용률(CCR)은 경상 비용률이 전분기보다 2~4bp 상승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ad

전분기와 비교하면 주로 환 차익이 환 차손으로 전환된 데 따라 9사 합산 영업이익이 2% QoQ 감소하고, 부동산 매각익 및 지분법 손익의 소멸을 가정한 데 따라 순이익이 11% QoQ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개별 은행별로 3Q25 지배주주 순이익은 KB금융 1조5410억원(-4.5% YoY), 신한지주 1조3364억원(+3% YoY), 하나금융지주 1조388억원(-10.2% YoY), 우리금융지주 8622억원(-4.7% YoY)을 기록할 전망이다.

은행주 3Q 순익 6.2조원..."본질 수익성은 여전히 버틴다"이미지 확대보기

최근 3개월 간 주요 은행주는 평균 5% 상승하며 KOSPI를 10%p 하회했다. 김도하 연구원은 "우량하고 안정성 높은 현금흐름 자산으로써의 이점이 여전히 유효하나, 단기적으로 capital gain 측면의 기대 요인은 부재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만일 배당소득 분리과세의 요건이 지난 7월 발표된 세제개편안대로 유지된다면, KB, 신한, 하나, iM금융은 기존의 룰보다 배당금액을 상향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금융지주는 3분기 배당기준일이 경과했고, 2026년부터 수취하는 배당금은 약 3년 간 비과세로 수령할 수 있어 차별적인 배당 매력이 본격화되는 구간으로 평가된다. 김 연구원은 "다가올 배당금부터 약 3년 간 비과세 수취가 가능한 우리금융지주가 있다. 실리적인 매력이 확대되는 구간"이라고 강조했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527.29 ▼83.31
코스닥 840.53 ▼18.96
코스피200 493.48 ▼13.4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3,844,000 0.01%
비트코인캐시 818,500 0.37%
이더리움 6,260,000 0.34%
이더리움클래식 25,230 0.80%
리플 3,817 0.03%
퀀텀 3,122 -0.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3,929,000 0.02%
이더리움 6,255,000 0.40%
이더리움클래식 25,220 0.84%
메탈 791 0.25%
리스크 366 -0.27%
리플 3,818 0.08%
에이다 1,055 0.19%
스팀 149 0.0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4,040,000 0.13%
비트코인캐시 817,500 0.00%
이더리움 6,265,000 0.40%
이더리움클래식 25,190 0.64%
리플 3,816 0.08%
퀀텀 3,125 -0.19%
이오타 239 -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