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오픈AI와 손잡은’ 삼성SDS, 클라우드 타고 AI 풀스택 시대 연다
배터리 3분기 실적 호조도 26년 EPS 하향 조정 부담…韓 배터리 기업 '트레이딩 국면'
희토류 무기화하는 중국, 美 직접투자 전략으로 'K-희토류' 기업 수혜 단계
GS25 '네고시앙 다이렉트' 7개월 만에 5억원 매출…프리미엄 와인 대중화 성공
한화, 미국 방산시장 공략…K9A2·155mm 추진장약 현지화로 '한미 안보협력' 강화
iM뱅크, 외국인 근로자 대상 '3000만원' 신용대출 상품 출시
IBK기업은행, 헝가리 개발은행과 업무협약…유럽 시장 진출 지원 강화
[2023년 3월]삼성물산, 삼성전자와 1조640억원 규모 공급계약
조성아 대표이사, CSA 코스믹 주식 150만주 임원퇴임…지분율 0.00%
일신바이오, 일동바이오사이언스와 9억원 규모 초저온냉동고 공급 계약
DB손해보험주식회사 최대주주, DB증권 주식 3만5000주 ↑…지분율 26.32%
미래에셋자산운용(주), 미래에셋생명 주식 18만4607주 ↑…지분율 14.50%
(주)KSS해운우리사주조합, KSS해운 주식 1만2574주 장내매수,퇴직자인출↑…지분율 12.39%
에스폼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 5만4301주 공개매수↑…지분율 38.80%
티에스2018-12M&A투자조합, 씨싸이트 주식 12만6000주 ↓…지분율 53.52%
피노, 엘앤에프와 63억원 규모 NCM 전구체 공급 계약
피노, 엘앤에프와 98억원 규모 NCM 전구체 공급 계약
김정돈 사내이사, 잉크테크 주식 6687주 ↑…지분율 4.07%
노광 대표이사, 선바이오 주식 3180주 ↑…지분율 25.75%
[특징주]케이지에이, 휴머노이드 로봇 '심장' 2차 테스트 성료··테슬라·보스턴·피규어AI 적용 기대감에 19%↑
Updated : 2025-10-14 (화)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투자뉴스  >  시장분석

희토류 무기화하는 중국, 美 직접투자 전략으로 'K-희토류' 기업 수혜 단계

주지숙 기자

입력 2025-10-14 06:00

- 중국 2차 희토류 수출통제 확대, 비중국권 기업 전략적 가치 부각
- 美 국방부 MP머터리얼즈 지분인수로 국가자본주의 정책 전환 신호
- 갈륨·마그네슘·디스프로슘·테르븀, 정부 지원 집중될 4대 핵심자원

희토류 무기화하는 중국, 美 직접투자 전략으로 'K-희토류' 기업 수혜 단계이미지 확대보기
SK증권 나민식 연구원이 13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희토류를 '전략무기'로 다시 꺼내들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2025년 4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희토류 수출통제를 발표했으며, 특히 10월 2차 수출통제에서는 통제 대상을 7종에서 12종으로 확대하고, 중국 외에서 생산된 제품도 중국산 희토류를 포함하거나 중국의 가공기술을 사용했다면 영구자석 제품까지 규제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이는 미국의 방산·AI·전기차 산업을 직접 겨냥한 조치로, 미국과 유럽의 전기차 공장이 일시적으로 멈추고 일론 머스크역시 옵티머스 생산에도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중국의 수출통제가 심화되자 트럼프 행정부는 희토류, 리튬, 구리·코발트 등 전략자원에 직접 지분투자를 단행했다. 미국 국방부는 MP머터리얼즈에 4억 달러(약 580억 원) 규모의 지분을 인수하고, 10년간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산화물(NdPr)을 최저가격 1kg당 110달러에 매입하기로 약정했다.

이러한 정책 전환은 전통적 자유시장경제에서 국가자본주의 형태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의미한다. 과거 미국 정부는 보조금과 세제 혜택으로 지원하고 민간이 투자·운영하는 구조였으나, 이제 중국 배제의 공급망 자립을 위해 정부가 직접 지분을 확보하고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이는 중국과 러시아의 국가주도형 모델과 유사한 형태로, 미국이 자원 확보를 국가 안보 문제로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ad

희토류 무기화하는 중국, 美 직접투자 전략으로 'K-희토류' 기업 수혜 단계이미지 확대보기

투자 관점에서 주목할 대상은 미국 내무부와 에너지부가 동시에 지정한 자원의 '교집합 영역'이다. 에너지부의 핵심소재(Critical Materials) 리스트는 에너지산업에서 중요도가 높아 정책자금 유입 가능성이 큰 자원을 의미하고, 내무부의 핵심광물(Critical Minerals) 리스트는 미국 내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자원을 뜻한다. 보고서는 갈륨(Ga), 마그네슘(Mg), 디스프로슘(Dy), 테르븀(Tb) 4개 자원이 양 부처 리스트에 모두 포함돼 미국 정부 지원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한국 기업들도 정책 변화의 수혜 대상으로 평가된다. 호주의 라이나스(Lynas)는 비중국권 국가 중 유일하게 희토류 정제공장을 운영 중이며, 한국의 제이에스링크는 공격적인 영구자석 생산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이 가장 취약한 부문이 정제공정과 영구자석 생산이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업들이 전략적 가치를 인정받을 전망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LS에코에너지, LS에코첨단소재 등 한국 기업들도 희토류 관련 공급망 구축을 진행 중이다.

희토류 무기화하는 중국, 美 직접투자 전략으로 'K-희토류' 기업 수혜 단계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정부의 직접투자는 단순 재정 지원을 넘어 시장 심리 전환을 유도했다. MP머터리얼즈 지분인수 발표 당일 주가는 50.6% 급등했으며, 리튬아메리카스는 95.8%, 트릴로지메탈스는 208.9%까지 폭등했다. 이는 광산기업이 '리스크 산업'에서 '국가 전략 인프라 산업'으로 재평가되면서 리스크 프리미엄이 축소된 결과다.

향후 미국 정부의 선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기업, 특히 AI·로봇·방위산업 등 전략산업의 핵심 자원 공급망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투자 유망기업으로 꼽힌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584.55 0.00
코스닥 860.49 0.00
코스피200 501.87 0.0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2,000,000 -0.17%
비트코인캐시 817,500 0.18%
이더리움 6,325,000 -0.41%
이더리움클래식 26,140 -0.27%
리플 3,894 -0.13%
퀀텀 3,196 0.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2,050,000 -0.27%
이더리움 6,323,000 -0.43%
이더리움클래식 26,130 -0.15%
메탈 831 0.36%
리스크 381 0.00%
리플 3,891 -0.23%
에이다 1,091 0.00%
스팀 155 -0.6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1,980,000 -0.19%
비트코인캐시 816,500 0.06%
이더리움 6,325,000 -0.47%
이더리움클래식 26,160 -0.11%
리플 3,892 -0.21%
퀀텀 3,178 0.00%
이오타 242 -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