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알트5시그마(ALTS), 주주총회에서 주식 발행 한도 증대 승인
포티브(FTV), 고위 임원 은퇴 발표
이노베이트(VATE), 포트폴리오 회사 DBM 글로벌, 현금 배당금 지급 발표
글로벌워터리소시즈(GWRS), 요금 인상 신청 및 초기 증언 제출
C4테라퓨틱스(CCCC), 주요 증권 발행 계약 체결
맥유언마이닝(MUX), 합병 계약 체결 발표
XTI에어로스페이스(XTIA), 임원 보상 조정 및 주식 옵션 연장 승인
프리딕티브온콜로지(POAI), 이사 후보 지명에 관한 공지
테라울프(WULF), 32억 달러 규모의 선순위 담보부 채권 가격 발표
제논파마슈티컬스(XENE), 터커 켈리 최고재무책임자 임명 발표
이테룸테라퓨틱스(ITRM), 2천만 달러 규모의 주식 공모 진행
로보틱스 시총 26.9조 육박, 미-중 갈등이 만든 '골든타임'…급락 우려는 기우
힐런브랜드(HI), LSF12 헬릭스와 합병 계약 체결
사이언처홀딩스(SCNX), 대출 계약 수정 및 스트리트빌 캐피탈과의 노트 구매 계약 체결
HF푸드그룹(HFFG), 경영진 변화 발표
그레일(GRAL), 그레일과 전략적 협력 발표 - 다중암 조기 발견 테스트를 아시아에 도입
플루리(PLUR), CEO 야키 야나이에 대한 주식 보상 승인
컨스텔레이션브랜드(STZ), 4.950% 선순위 채권 발행 계약 체결
다이오즈(DIOD), 2025년 3분기 재무 결과 발표 예정
챔피언스온콜로지(CSBR), 주주총회 결과 발표
Updated : 2025-10-17 (금)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투자뉴스  >  시장분석

로보틱스 시총 26.9조 육박, 미-중 갈등이 만든 '골든타임'…급락 우려는 기우

주지숙 기자

입력 2025-10-17 06:30

- 관세장벽·생산설비 확보로 2026년 본격 성장 전망

로보틱스 시총 26.9조 육박, 미-중 갈등이 만든 '골든타임'…급락 우려는 기우이미지 확대보기
iM증권 이상수 연구원이 16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15일 종가 기준 국내 로보틱스 산업 시가총액이 26.9조원에 근접했다. 이는 시장 내 유동성 증가뿐 아니라 미국의 중국산 로봇 수입 규제 가능성, 국내 반덤핑 관세 부과 검토, Figure AI의 차세대 휴머노이드 공개 등 주요 이슈에 따라 수급이 집중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9월 29일 미국 상무부가 무역법 232조에 근거해 산업용 로봇을 포함한 주요 로봇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는 향후 휴머노이드를 비롯한 기타 로봇으로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에서도 무역 장벽이 강화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과 일본에서 수입되는 산업용 로봇에 대해 최대 43.6%의 반덤핑 관세 부과를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용 로봇 업체들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0월 10일에는 북미 소재 휴머노이드 업체 Figure AI가 자체 생산 공장 BotQ에서 다이캐스팅 기반 양산 체제로 제작한 'Figure 03'를 공개하며, 센서와 하드웨어 구성에서 개선점을 보여줬다.

로보틱스 시총 26.9조 육박, 미-중 갈등이 만든 '골든타임'…급락 우려는 기우이미지 확대보기

밸류에이션 부담과 더딘 실적 개선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휴머노이드 산업에 한정하면 성장성은 견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산업용 로봇 및 소부장 업체가 상승 사이클 당시 부여받은 밸류에이션 수준은 PER 50~80배 수준이었으며, 휴머노이드 관련 업체는 여기에 프리미엄을 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경우 완제품 공급 측면에서 FANUC, ABB를 동종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로보티즈는 구동 모듈을 공급해온 Harmonic Drive Systems, Nidec 등으로부터 적절한 밸류에이션 수준을 참고할 수 있다.
ad


생산 설비 확보에 따른 매출 급증도 주가 하락 우려를 낮추는 요인이다. 현재 대부분의 휴머노이드 업체들은 자체 생산 공장을 이제 막 확보하고 있으며, 제한된 공간에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Boston Dynamics는 연 3만대 생산 능력(CAPA)의 생산 공장을 계획 중이며,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25년 12월 완공 예정인 세종 신규 생산 공장 내에 휴머노이드 생산 라인을 포함할 것으로 판단된다. 2026년을 기점으로 국내외 휴머노이드 업체의 생산 규모가 확대되면서 매출 발생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미-중 갈등에 따른 구조적 수혜 가능성도 제기됐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산업용 로봇의 경우 기타 공산품에 준하는 수준의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다. 2024년 기준 2021년 대비 중국의 산업용 로봇 무역수지는 94.1% 감소했는데, 이는 로컬 업체 약진을 통한 일본 수입 의존도 감소 및 개도국 진출을 통한 수출 증대 영향이다. 미국은 중국 휴머노이드의 시장 진출을 저지하거나 우방국을 중심으로 한 휴머노이드 공급망 구축에 나설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 및 위탁 조립 업체, 핵심 소재 업체들의 중장기 수혜가 예상된다.

로보틱스 시총 26.9조 육박, 미-중 갈등이 만든 '골든타임'…급락 우려는 기우이미지 확대보기

국내외 휴머노이드 업체들의 주요 이벤트도 예정돼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올해 12월 세종 사옥 및 공장 완공이 임박했으며, 2026년 상반기 차세대 휴머노이드 제품 공개와 함께 RB-Y1 생산 및 판매 대수 증가가 관찰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 외에도 휴머노이드 관련 핵심 업체를 추가 인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국 Unitree Robotics의 상장이 예정돼 있으며 10조원 내외의 기업가치가 예상된다. 11월 테슬라 주주총회에서는 Optimus Gen3 공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748.37 0.00
코스닥 865.41 0.00
코스피200 524.45 0.0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242,000 -0.08%
비트코인캐시 770,000 -0.26%
이더리움 5,945,000 0.22%
이더리움클래식 24,180 0.37%
리플 3,554 0.65%
퀀텀 2,968 0.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297,000 -0.08%
이더리움 5,946,000 0.27%
이더리움클래식 24,100 0.17%
메탈 761 -0.26%
리스크 346 0.58%
리플 3,557 0.65%
에이다 986 0.31%
스팀 144 0.0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230,000 -0.14%
비트코인캐시 771,000 -0.06%
이더리움 5,945,000 0.25%
이더리움클래식 24,170 0.29%
리플 3,553 0.51%
퀀텀 2,966 0.85%
이오타 212 -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