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국민연금공단, 현대건설 주식 1120만7787주 신규보고,장내매수 ↑…지분율 9.97%
국민연금공단, 대한유화 주식 2126주 ↓…지분율 9.98%
파두, 68억원 규모 SSD 공급계약 체결
(주)일월, 일월지엠엘 주식 16만1300주 ↑…지분율 15.90%
알트5시그마(ALTS), 주주총회에서 주식 발행 한도 증대 승인
포티브(FTV), 고위 임원 은퇴 발표
이노베이트(VATE), 포트폴리오 회사 DBM 글로벌, 현금 배당금 지급 발표
글로벌워터리소시즈(GWRS), 요금 인상 신청 및 초기 증언 제출
C4테라퓨틱스(CCCC), 주요 증권 발행 계약 체결
맥유언마이닝(MUX), 합병 계약 체결 발표
XTI에어로스페이스(XTIA), 임원 보상 조정 및 주식 옵션 연장 승인
프리딕티브온콜로지(POAI), 이사 후보 지명에 관한 공지
테라울프(WULF), 32억 달러 규모의 선순위 담보부 채권 가격 발표
제논파마슈티컬스(XENE), 터커 켈리 최고재무책임자 임명 발표
이테룸테라퓨틱스(ITRM), 2천만 달러 규모의 주식 공모 진행
로보틱스 시총 26.9조 육박, 미-중 갈등이 만든 '골든타임'…급락 우려는 기우
힐런브랜드(HI), LSF12 헬릭스와 합병 계약 체결
사이언처홀딩스(SCNX), 대출 계약 수정 및 스트리트빌 캐피탈과의 노트 구매 계약 체결
HF푸드그룹(HFFG), 경영진 변화 발표
그레일(GRAL), 그레일과 전략적 협력 발표 - 다중암 조기 발견 테스트를 아시아에 도입
Updated : 2025-10-17 (금)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핫이슈  >  인포머셜

2024년 1분기 SKT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 총정리

입력 2024-05-10 06:10

2024년 1분기 SKT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 총정리이미지 확대보기
SK텔레콤이 올 1분기 실적을 공시했습니다. SK브로드밴드를 포함한 연결 기준 매출은 4조4746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985억 원으로 0.8% 늘었습니다. 회사 측은 “유무선 통신 가입자가 증가했고, 데이터센터·클라우드를 포함한 B2B(기업간거래)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했습니다.

◆5G 가입자 증가하고 마케팅비는 감소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사업 호조
◆SKT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전문
-1분기 재무 실적
ad

-1분기 주요 성과와 향후 전략
-1분기 주주환원정책 발표
-컨퍼런스콜에 진행된 질의응답

◇ 5G 가입자 증가하고 마케팅비는 감소

유무선 사업의 경우 이동통신 매출이 2조664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4% 증가했습니다. 5G 가입자가 1593만명으로 1년 전보다 180만명 가까이 늘면서 전체 핸드셋(핸드폰) 가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1%에서 70%로 확대됐습니다. 올 1월 출시된 스마트폰 ‘갤럭시S24′ 효과로 5G 가입자가 늘어났다는 분석입니다.

로밍 이용자 수도 1년 전보다 50만명 가까이 늘어난 139만명을 기록했습니다. 회사 측은 “가족 로밍 요금제와 바로(baro) 요금제 개편, 프로모션 효과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마케팅 비용은 감소했습니다.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제외) 1분기 마케팅비는 7194억원으로 1년 전(7566억원)보다 5%가량 줄었습니다. 마케팅비는 휴대폰 구매 보조금, 판매 장려금, 광고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SK브로드밴드가 담당하는 유료방송(IPTV·케이블TV) 사업의 경우 1분기 매출이 4760억원으로 1년 전보다 0.7% 늘었습니다. 유료방송 가입자가 959명으로 1년 전보다 2%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초고속인터넷을 포함한 유선통신의 경우 1분기 매출 27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늘었습니다.

구독서비스 T우주는 유튜브 프리미엄 패키지에 힘입어 1분기 말 기준 월간 실사용자가 26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SK텔레콤은 상반기 중 T우주를 ‘구독마켓’으로 발전시켜 제휴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사업 호조

엔터프라이즈 사업의 경우 1분기 매출 41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가량 늘었습니다. 회사 측은 “데이터센터 가동률 상승과 클라우드 수주 증가가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데이터센터 매출이 전년 동기(464억원)보다 26% 늘어난 583억원, 클라우드 매출이 전년 동기(253억원)보다 39% 증가한 35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기업용 전용 회선 매출은 3076억원으로 전년 대비 1% 증가했습니다.

회사 측은 데이터센터를 최근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AI데이터센터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SK하이닉스와 SK브로드밴드, SK엔무브, 사피온 등 그룹사의 역량을 결집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패키지’를 준비 중입니다. 미국 서버 제조 기업인 슈퍼마이크로,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 등과 글로벌 사업 협력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콘텐츠 내용 전체 확인하기 : https://www.datatooza.com/premium.php?ssid=240509173129686is
https://www.datatooza.com/premium.php?ssid=240509173129686is

[본 글은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데이터투자와 무관합니다. 해당 관련 기사 문의는 contents@theinvest.co.kr으로 연락바랍니다.]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745.11 ▼3.26
코스닥 859.94 ▼5.47
코스피200 525.05 ▲0.6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051,000 -0.39%
비트코인캐시 764,000 -0.78%
이더리움 5,935,000 -0.49%
이더리움클래식 23,910 -0.79%
리플 3,553 -0.75%
퀀텀 2,949 -0.8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074,000 -0.45%
이더리움 5,927,000 -0.67%
이더리움클래식 23,870 -1.00%
메탈 745 -0.67%
리스크 340 -0.87%
리플 3,551 -0.84%
에이다 979 -0.81%
스팀 143 -0.6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130,000 -0.37%
비트코인캐시 763,500 -0.91%
이더리움 5,935,000 -0.50%
이더리움클래식 23,860 -1.00%
리플 3,553 -0.78%
퀀텀 2,984 0.00%
이오타 213 -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