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김종원 대표이사회장, 원텍 주식 1090주 ↑…지분율 31.73%
대한해운, 한국동서발전과 598억원 규모 유연탄 수송 장기용선 계약
강찬호 사내이사, 이지트로닉스 주식 4200주 ↑…지분율 39.90%
홍유경 본부장, DSR제강 주식 5000주 ↑…지분율 2.29%
윤호성 전무이사, 캐스텍코리아 주식 1만3955주 ↑…지분율 4.07%
와이제이에이헬스케어성장지원사모투자합자회사,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 155만8000주 신규상장…지분율 30.52%
주식회사비엔나투자목적회사, 비올 주식 14만6018주 ↑…지분율 60.36%
서진시스템, 에이스엔지니어링과 1224억원 규모 ESS 장비 공급계약
김진국 대표이사,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 131만2000주 신규상장…지분율 25.70%
와이어블, 방위사업청과 92억원 규모 25년 비호 감지기 유니트 등(구매) 계약
영우디에스피, 178억원 규모 디스플레이장비 계약
삼성SDI, OLED 지분 가치 재조명과 ESS 성장 기대감 부각 - 미래에셋증권
조성아 대표이사, CSA 코스믹 주식 547만6713주 장외매도 ↓…지분율 7.31%
김정돈 사내이사, 잉크테크 주식 2만주 ↑…지분율 3.91%
포스코인터내셔널, 북미 LNG 시장 확대에 적극 대응하며 성장 모멘텀 강화 - 대신증권
김혜련 부회장, 크레버스 주식 7만5357주 장외매수 ↑…지분율 5.39%
[특징주]에스피시스템스, 현대차 美 36조 투자 '로봇·전기차' 현지 생산 체계 구축··밸류체인 직 수혜
삼성바이오로직스, 유럽소재제약사와 884억원 규모 의약품 위탁생산계약
팬오션, 1136억원 규모 장기화물운송계약
정현호 대표이사, 메디톡스 주식 1654주 ↑…지분율 17.16%
Updated : 2025-08-26 (화)

HOME  >  공시분석  >  컨센서스

삼성SDI, OLED 지분 가치 재조명과 ESS 성장 기대감 부각 - 미래에셋증권

주지숙 기자

입력 2025-08-26 14:19

-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가치 3.5조원으로 보수적 산정 재편입
- 2026년 애플 폴더블 기기 출시 및 ITC 제재 수혜 전망
- 2025년 단기 실적 부진 불가피하나 4분기부터 점진적 개선 기대
- ESS 사업부 2026~27년 영업이익 비중 50%까지 확대 전망
- 27년 예상 EBITDA 기준 ESS 사업가치 13조원 산정
- 저평가된 밸류에이션, 27년 P/E 8배, P/B 0.7배 수준
- 목표가 315,000원, 투자의견 ‘매수’

삼성SDI, OLED 지분 가치 재조명과 ESS 성장 기대감 부각 - 미래에셋증권이미지 확대보기
삼성SDI의 목표주가가 기존 28만원에서 31.5만원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미래에셋증권은 삼성디스플레이 OLED 가치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하며, OLED 시장 성장 둔화로 제외했던 삼성SDI의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가치(15.2%)를 다시 편입시켰다.

이 지분 가치는 삼성디스플레이 장부가격 65조원에 LG디스플레이의 Target P/B 0.7배를 적용하고 삼성SDI 보유 지분율 15.2%에 50% 할인율을 적용해 보수적으로 3.5조원으로 산정했다.

삼성SDI, OLED 지분 가치 재조명과 ESS 성장 기대감 부각 - 미래에셋증권이미지 확대보기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가치 재조명이 필요한 이유로는 2026년 애플의 폴더블 기기 출시와 초기 물량을 삼성디스플레이가 독점 공급하는 점, 그리고 ITC 제재에 따른 북미 등 일부 레거시 물량 수혜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감가상각이 대부분 종료된 OLED 라인의 가동률 상승으로 안정적인 실적 성장도 기대된다. 이에 따라 2026년부터 삼성SDI가 보유한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가치 및 지분법 이익 증가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는 EV 부진 지속에 따라 2025년 3분기 매출액 3.15조원, 영업적자 4,000억원이 예상되어 실적 부진이 불가피하다. 다만 이러한 단기 실적 우려는 이미 주가에 반영된 상태로, 4분기부터 점진적인 실적 개선과 2026년부터 북미 ESS 사업부의 실적 성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ESS 사업부는 2026년과 2027년에 전사 영업이익의 50%까지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ESS 부문 가치는 13조원으로 산정되었다. 2027년 예상 EBITDA에 Target EV/EBITDA 15배를 적용한 결과다. 또한 북미 ESS 부문에서 국내 경쟁사와 유의미한 고객사 확보가 추가될 경우 중장기 사업가치 상향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 OLED 지분 가치 재조명과 ESS 성장 기대감 부각 - 미래에셋증권이미지 확대보기

현재 삼성SDI의 밸류에이션은 단기 실적 부진을 반영한 수준으로, 2027년 기준 P/E는 8배, P/B는 0.7배로 2014~2016년 극단적 적자 구간 하단 수준에 머물러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러한 저평가된 밸류에이션과 OLED 지분 가치 재조명, ESS 사업 성장 기대를 바탕으로 삼성SDI에 대해 목표주가 315,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9.36 ▼30.50
코스닥 801.66 ▲3.64
코스피200 429.41 ▼4.4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400,000 ▼54,000
비트코인캐시 761,500 ▼3,000
이더리움 6,23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9,860 ▼130
리플 4,115 ▲1
퀀텀 4,098 ▲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372,000 ▼48,000
이더리움 6,237,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9,840 ▼180
메탈 990 ▼1
리스크 531 ▼1
리플 4,118 ▲2
에이다 1,183 ▼4
스팀 18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370,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766,500 ▲500
이더리움 6,23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800 ▼110
리플 4,117 ▲4
퀀텀 4,105 ▲13
이오타 26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