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브룩필드애셋매니지먼트(BAM), 7억 5천만 달러 규모의 6.077% 채권 발행 발표
요시하루글로벌(YOSH), 오픈 이노베이션 펀드와 전환사채 구독 계약 수정
허드슨글로벌(HSONP), 스타 에쿼티 홀딩스, Inc.로 사명 변경
아워루프(HOUR), 2025년 주주총회 결과 발표
헌츠맨(HUN), 데이비드 스트라이커 은퇴 발표 및 줄리아 라이트 신임 법무부장 임명
센츄리커뮤니티스(CCS), 5억 달러 규모의 2033년 만기 선순위 채권 사모 발행 가격 발표
실간홀딩스(SLGN), 신규 선순위 채권 발행 가격 발표
스냅(SNAP), 법률 고문, 사임 발표
허크홀딩스(HRI), 수익금 금융 계약 제6차 수정안 체결
콘크리트펌핑홀딩스(BBCP), 2025년 7월 31일 분기 보고서 제출
스카이쿼리(SKYQ), 전환사채 및 워런트 발행
알트5시그마(ALTS), $WLFI 보유량 약 72억 8천만 토큰 증가 발표
비바니메디컬(VANI), NPM-139 세마글루타이드 임플란트 임상 개발 계획 발표
스위트그린(SG), 미치 레백 은퇴 및 제이미 맥코넬 CFO 임명 발표
사우스스테이트(SSB), 신규 보증채권 발행 및 합병 관련 계약 체결
아메리칸배터리테크놀러지(ABAT), 이사 사임 및 신규 이사 선임
누텍스헬스(NUTX), 리드 독립 이사로 마이클 L. 리드 임명
케스트라메디컬테크놀로지스(KMTS), 2025 연례 주주총회 결과 발표
아메리칸아웃도어브랜즈(AOUT), 2026 회계연도 1분기 재무 결과 발표
메리어트버케이션월드와이드(VAC), 5억 7,500만 달러 규모의 6.500% 선순위 채권 발행 가격 발표
Updated : 2025-09-05 (금)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공시분석  >  컨센서스

네오팜, MLE® 피부장벽 기술력 기반 브랜드 확장과 글로벌 성장 모멘텀 강화 - 한국IR협의회

주지숙 기자

입력 2025-09-03 15:53

- 19년 연속 K-BPI 보습·민감성 부문 1위 아토팜 보유
- 제로이드 올리브영 입점, 리얼베리어 다이소 진출 등 채널 다변화 가속
- 2025년 매출액 1,328억원, 영업이익 302억원 전망
- 동종기업 대비 저평가 구간으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

네오팜, MLE® 피부장벽 기술력 기반 브랜드 확장과 글로벌 성장 모멘텀 강화 - 한국IR협의회이미지 확대보기
네오팜은 독자 개발한 MLE®(Multi Lamellar Emulsion) 피부장벽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대표 더마 코스메틱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아토팜, 제로이드, 리얼베리어, 더마비 등 스킨케어부터 페이셜케어, 바디케어에 이르는 포괄적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19년 연속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보습·민감성 부문 1위를 기록한 아토팜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네오팜은 병·의원 전용 브랜드 제로이드의 올리브영 입점(2024년 8월)과 2025년 리얼베리어의 다이소 진출 등 유통 채널 다변화를 통해 매출 성장세를 가속화하고 있다. 면세점 채널 확대 또한 아토팜과 리얼베리어 브랜드의 글로벌 확산에 기여하며, 미국과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수출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수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약 14% 수준이며, 북미는 연간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네오팜, MLE® 피부장벽 기술력 기반 브랜드 확장과 글로벌 성장 모멘텀 강화 - 한국IR협의회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9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47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2025년에는 매출액 1,328억원, 영업이익 302억원, 영업이익률 22.7%로 각각 11.6%, 22.3%, 2.0%p 개선될 전망이다. 특히 제로이드의 올리브영 진출 효과와 리얼베리어의 글로벌 온라인 시장 성장, 아토팜의 면세점 및 수출 확대가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사는 20% 이상의 안정적인 영업이익률과 함께 2024년부터 2026년까지 당기순이익의 40~50%를 현금배당하는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 중이다. 2024년 결산 배당금은 주당 600원으로 시가배당률 4.9% 수준이다. 또한 부채비율 8.8%로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며, 연구개발과 마케팅 투자에도 무리가 없는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다.

네오팜은 동종기업 대비 현저히 낮은 PER 11.4배, PBR 1.5배, PSR 2.3배 수준에 머물러 있어 저평가 구간에 있다는 평가다.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외형 성장성과 OEM 매출 비중 증가에 따른 수익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나, 제로이드 올리브영 유통 확대, 아토팜 면세점 및 수출 성장, 리얼베리어 글로벌 채널 확장 등 성장 모멘텀 가시화와 주주환원 정책이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네오팜, MLE® 피부장벽 기술력 기반 브랜드 확장과 글로벌 성장 모멘텀 강화 - 한국IR협의회이미지 확대보기

한편, 네오팜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속도가 경쟁사 대비 더딘 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올리브영과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현지 맞춤형 마케팅 강화로 해외 매출 확대를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대표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0.83 ▲16.41
코스닥 805.42 ▲8.61
코스피200 432.32 ▲1.9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058,000 ▲182,000
비트코인캐시 829,000 ▲2,000
이더리움 6,067,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8,430 ▲100
리플 3,947 ▲16
퀀텀 3,839 ▲4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000,000 ▲103,000
이더리움 6,068,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8,430 ▲90
메탈 968 ▲1
리스크 506 0
리플 3,949 ▲18
에이다 1,140 ▲4
스팀 18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080,000 ▲180,000
비트코인캐시 829,000 ▲2,000
이더리움 6,06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8,400 ▲60
리플 3,948 ▲18
퀀텀 3,851 ▲38
이오타 25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