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유승수 상무, 미창석유 주식 10만주 수증 ↑…지분율 7.80%
KB자산운용, KB스타리츠 주식 1048주 ↓…지분율 26.85%
유재순 대표이사, 미창석유 주식 20만주 증여 ↓…지분율 14.35%
에스케이지오센트릭(주), 삼양패키징 주식 157만8867주 시간외매매 ↓…지분율 0.00%
(주)삼양사, JB금융지주 주식 20만주 시간외매매 ↓…지분율 14.40%
박채규, 디티앤씨 주식 10만2356주 ↑…지분율 39.95%
유지유 상무, 미창석유 주식 10만주 수증 ↑…지분율 7.59%
(주)삼양사, 삼양패키징 주식 157만8867주 시간외매매 ↑…지분율 71.47%
[특징주]에이엘티, '웨이퍼 수율 90%' 국내유일 기술력··오픈AI 웨이퍼 月90만장 대규모 수요에↑
자비스, 배터리 검사장비 '게임체인저' 등극…2026년 매출 퀀텀점프 예고
김호선 대표이사, 감성코퍼레이션 주식 8만주 ↑…지분율 23.84%
박준호 사내이사, 제닉스로보틱스 주식 13만주 ↓…지분율 2.44%
아반떼·싼타페·제네시스까지…현대차, 9월 글로벌 판매 ‘껑충’
플라이-이그룹(FLYE), 주식 판매 및 주주 총회 연기 발표
웰지스틱스헬스(WGRX), 5백만 달러 규모의 공모가 확정 발표
사가커뮤니케이션즈(SGA), 이사회 구성원 확대 및 그렉 서덜랜드 이사 임명 발표
클라임바이오(CLYM), 새로운 최고재무책임자 임명 및 유도 계획 수정
엑셀리스테크놀러지스(ACLS), 합병 발표
스포티지가 끌고 EV3가 밀었다…기아, 3분기 사상 최대 판매 기록
테라울프(WULF), 주주총회 결과 발표
Updated : 2025-10-02 (목)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종목분석  >  기업분석

[특징주]에이엘티, '웨이퍼 수율 90%' 국내유일 기술력··오픈AI 웨이퍼 月90만장 대규모 수요에↑

김규환 기자

입력 2025-10-02 10:43

[특징주]에이엘티, '웨이퍼 수율 90%' 국내유일 기술력··오픈AI 웨이퍼 月90만장 대규모 수요에↑이미지 확대보기
오픈AI가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와 고성능메모리반도체 공급협약을 맺은 가운데, 고성능 D램에 필요한 웨이퍼가 현재 생산능력의 2배인 월90만장에 이른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웨이퍼 수율이 공급량을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이 전해지며 에이엘티가 강세다.

2일 10시 43분 기준 에이엘티는 전 거래일 대비 8.47% 오른 10,8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삼성전자 및 SK와 글로벌 AI 핵심 인프라 구축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LOI(Letter of Intent·의향서)를 체결했다.
ad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적기에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공급할 생산체제를 구축한다. 오픈AI가 메모리 솔루션 수급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HBM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웨이퍼 기준 월 90만장에 달하는 고성능 D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오픈AI가 요청하는 HBM은 웨이퍼 기준으로 현재 전세계 HBM 생산 능력의 2배가 넘는 수준으로, 향후 막대한 AI 메모리 수요가 폭증할 전망이다. 삼성과 SK에는 이번 프로젝트 참여가 HBM 시장 자체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 기업의 수혜가 커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초박막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림, Rim) 부분을 레이저 컷 방식으로 정밀하게 절단하는 ‘자동화 단일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에이엘티가 수혜기업으로 주목받는 모습이다.

에이엘티가 보유한 ‘림컷(Rim-Cut)’ 기술은 레이저 컷(Laser Cut) 방식의 타이코 웨이퍼(Taiko Wafer) 절단 프로세스를 자동화된 단일 공정으로 통합해 칩(Chip) 수율을 향상하는 솔루션이다.

특히 기존 방식인 블레이드방식의 웨이퍼 수율이 60%인 반면, 에이엘티의 기술력은 약90%이상의 높은 수율을 내고 있다.

아울러 에이엘티는 지난 2023년에는 'SiC 웨이퍼 후공정 다이싱 장치 및 공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에이엘티가 개발한 Si 기반 전력반도체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IGBT)는 자동차와 같은 고효율 고속 전력 체계에 많이 쓰는 반도체로서 IGBT에 적용되는 림컷 기술을 차세대 전력반도체 SiC에도 응용할 수 있게 특허를 출원한 바 있어 이번 삼성·SK·오픈AI 협력에 따른 수혜기대감이 전망된다.

김규환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556.63 ▲100.80
코스닥 852.75 ▲7.41
코스피200 496.48 ▲17.11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8,525,000 ▼356,000
비트코인캐시 832,500 ▼1,500
이더리움 6,214,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7,830 ▼180
리플 4,215 ▼8
퀀텀 3,220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8,579,000 ▼354,000
이더리움 6,218,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7,820 ▼200
메탈 953 0
리스크 441 ▲1
리플 4,218 ▼9
에이다 1,214 ▼4
스팀 17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8,600,000 ▼280,000
비트코인캐시 831,000 ▼2,500
이더리움 6,21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7,800 ▼190
리플 4,214 ▼10
퀀텀 3,218 ▲7
이오타 25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