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실시간 국내외공시

Updated : 2025-10-01 (수)
비즈니스 파트너사
DB증권

HOME  >  산업  >  산업

'탈중국 K-배터리 심장' 새만금에 우뚝...LS 구자은 회장 "전구체 국산화로 글로벌 공급망 선도"

주지숙 기자

입력 2025-09-30 16:31

-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 전기차 130만 대 규모의 전구체 생산
- 신규 공장 1000여 명 고용 창출 효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

'탈중국 K-배터리 심장' 새만금에 우뚝...LS 구자은 회장 "전구체 국산화로 글로벌 공급망 선도"이미지 확대보기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이하 LLBS)이 30일 전북 군산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약 4만 평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준공했다. LLBS 신규 공장은 총 1조 원을 투자, 약 1000명의 고용 창출 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날 준공식에는 구자은 회장을 비롯한 LS그룹 임직원과 허제홍 엘앤에프 이사회의장, 김관영 도지사,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문승우 전북도의회 의장, 강임준 군산시장, 안종혁 한국수출입은행장 대행, 김명희 코트라 혁신 성장본부장 등 각계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구 회장은 “전 세계 80%에 달하는 전구체 시장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순수 국내 기술로 글로벌 공급망을 선도하기 위해, 이곳 새만금에 K-배터리 소재의 심장이 될 핵심거점을 마련했다”고 준공 배경을 설명했다.
ad

이어 “캐즘으로 인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트럼프 정부의 대규모 감세 법안으로 미국행 배터리 소재의 탈중국화가 가속화되는 등 우리나라 배터리 기업들의 미국 진출에 순풍이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타고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은 LS그룹의 신성장 사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배터리 산업 밸류체인의 국산화를 이끌며 K-배터리 소재 강국의 실현을 앞당길 것”이라고 역설했다.

앞서 LS그룹은 전기·전력·소재 등 기존 주력 산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배·전·반(배터리·전기차·반도체) 관련 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낙점해 구 회장의 ‘양손잡이 경영’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러한 경영 전략의 일환으로 설립된 LLBS는 지난 2023년 10월, 그룹 지주사인 LS가 하이니켈 양극재 전문 회사 엘앤에프와 손잡고 배터리 핵심 소재 양극재의 원료로 쓰이는 전구체 사업을 위해 출범한 합작사다.

올 4월 전체 공장에 대한 사용 승인을 받은 LLBS는 전구체 시험 생산을 시작으로 2026년에는 2만 톤, 2027년에는 4만 톤, 2029년에는 전기차 130만 대 규모에 해당하는 12만 톤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LS그룹의 비철금속 제련회사, LS MnM 또한 약 1조8000억원을 투자해 2027년 울산 공장 준공에 이어 2029년 새만금 공장까지 가동되면 전구체의 핵심 소재인 황산니켈을 연간 6만2000톤 규모로 양산할 예정이다.

이로써 LS는 LS MnM이 LLBS에 황산니켈을 공급하면 LLBS가 이를 활용해 전구체로 만든 뒤, 양극재를 생산하는 파트너사 엘앤에프에 납품하는 배터리 산업 밸류체인을 순수 국내 기술로 실현, 이차전지 소재 사업 생태계 구축에 주도적 역할을 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준공식에 참석한 허제홍 엘앤에프 이사회의장은 “LLBS 전구체 공장 준공은 대한민국 이차전지 산업 도약의 전환점이자,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앞으로 이곳 새만금을 ‘친환경·고성능 이차전지 소재 산업의 글로벌 거점’으로 육성해 기업 하기 더 좋은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은 “Precursor는 전구체 외에도 선구자란 뜻을 가지고 있는데 LLBS가 이차전지 산업의 선구자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안종혁 한국수출입은행장 직무대행은 “공급망 안정화 기금이 지원한 이번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과 발전을 계속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는 지난 3월에 발간한 ‘양극재용 전구체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리포트’에서 글로벌 양극재용 전구체 수요가 2024년 320만 톤에서 2032년 777만 톤으로 2.4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평균 성장률 전망치는 12%다.

같은 기간 용도별로는 가장 비중이 큰 전기차용 전구체 수요가 231만 톤에서 610만 톤으로 2.5배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SNE리서치는 현재 우리나라 NCM(니켈·코발트·망간) 전구체 수입량의 90% 정도가 중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구체를 내재화할 수 있는 생산능력과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 전구체 :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을 섞은 화합물로, 배터리의 심장인 양극재를 만들기 전에 거치는 중간 핵심 원료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종목분석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24.60 ▼6.61
코스닥 841.99 ▼4.72
코스피200 474.03 ▼1.1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454,000 ▲103,000
비트코인캐시 800,000 ▲500
이더리움 5,980,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6,480 ▲230
리플 4,098 ▲7
퀀텀 3,055 ▲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25,000 ▲129,000
이더리움 5,988,000 ▲41,000
이더리움클래식 26,510 ▲230
메탈 894 ▲4
리스크 420 ▲3
리플 4,102 ▲9
에이다 1,154 ▲9
스팀 16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80,000 ▲180,000
비트코인캐시 801,000 ▲2,000
이더리움 5,980,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6,480 ▲240
리플 4,100 ▲9
퀀텀 2,990 0
이오타 238 0